메뉴 건너뛰기

close

5일 <조선일보>가 전태일 재단과 함께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를 조명하는 창간 104주년 공동 기획을 소개했다.
 5일 <조선일보>가 전태일 재단과 함께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를 조명하는 창간 104주년 공동 기획을 소개했다.
ⓒ <조선일보>

관련사진보기

 
5일 <조선일보>가 전태일 재단과 함께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를 조명하는 창간 104주년 공동 기획을 소개했다.

<조선일보>는 이날 "12 대 88, 쪼개진 노동시장을 바꿔야 한다"라는 제목의 1면 기사에서 "현재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는 높은 임금을 받으면서 다양한 복지 등으로 겹겹이 보호받는 대기업 정규직 12%와 낮은 임금에 사회적 안전망도 부족한 나머지 중소기업, 비정규직 88% 간 이중구조가 굳어지고 있다"며 "전태일재단과 함께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넘어서기 위한 상생 방안을 모색한다"고 보도했다.

특히 <조선일보>는 해당 기사에서 "지난 2022년 여름,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 옥포조선소에서는 배를 만드는 핵심 작업장인 독(dock) 한 곳이 51일간 점거되는 사건이 있었다. 민노총 소속 조선 하청 업체(협력사) 노조 파업으로 인한 일이었다"라며 "이 사건 이후 정부 조사로 밝혀진 사실은 국민들을 한 번 더 놀라게 했다. 조선업 하청 직원들은 연봉이 대기업 원청 근로자의 50~70% 수준이고, 원청이 기피하는 더 위험한 업무를 도맡는 일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파업 당시 "돈 더 내놓으라며 회사 마비시켰다" 폄하
 
지난 2022년 7월 15일 <조선일보>는 "협력업체 노조가 세계 최대 조선소 마비시켜도 어쩔 수 없다니"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파업 노조원들은 대우조선 소속도 아니다. 하청업체 노동자 120여 명이 돈 더 달라며 지난달 18일부터 독(배 만드는 작업장) 진입을 막고 있는 것"이라며 하청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해 "돈 더 달라"는 표현으로 폄하했다.
 지난 2022년 7월 15일 <조선일보>는 "협력업체 노조가 세계 최대 조선소 마비시켜도 어쩔 수 없다니"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파업 노조원들은 대우조선 소속도 아니다. 하청업체 노동자 120여 명이 돈 더 달라며 지난달 18일부터 독(배 만드는 작업장) 진입을 막고 있는 것"이라며 하청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해 "돈 더 달라"는 표현으로 폄하했다.
ⓒ <조선일보>

관련사진보기

 
<조선일보>가 지적한 대로 당시 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열악한 처우에 반발해 파업을 했다. 그렇다면 대우조선해양 파업을 원·하청 격차의 대표적 예시로 드는 <조선일보>는 당시 파업을 어떻게 보도했을까.

지난 2022년 7월 15일 <조선일보>는 "협력업체 노조가 세계 최대 조선소 마비시켜도 어쩔 수 없다니"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파업 노조원들은 대우조선 소속도 아니다. 하청업체 노동자 120여 명이 돈 더 달라며 지난달 18일부터 독(배 만드는 작업장) 진입을 막고 있는 것"이라며 하청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해 "돈 더 달라"는 표현으로 폄하했다.

또한 사설은 "대우조선이 어떤 회사인가. 사실상 파산한 회사를 국민 부담으로 먹여 살리고 있는 곳"이라며 "그런 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돈 더 내놓으라며 회사를 마비시켰다"라며 재차 이들의 파업을 폄하했다.

이어 사설은 "이번 사태는 문재인 정부가 업종별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고 획일적인 주52시간제를 도입하는 바람에 협력업체 직원들의 근로 시간과 수입이 크게 줄어든 탓이 적지 않다"며 파업의 책임에 대해 지금과 같이 원청과 하청의 격차가 아닌 문재인 정부의 주52시간제를 지목했다.

하청노동자의 열악한 처우 언급 대신 원청 입장 보도하며 "시대착오적" 비판만
 
다음날인 2022년 7월 16일에도 <조선일보>는 "또 시너통에 고공 농성, 시대착오 극렬 투쟁 언제까지 할 건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자칫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라고 하청 노동자들의 파업을 비판했다.
 다음날인 2022년 7월 16일에도 <조선일보>는 "또 시너통에 고공 농성, 시대착오 극렬 투쟁 언제까지 할 건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자칫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라고 하청 노동자들의 파업을 비판했다.
ⓒ <조선일보>

관련사진보기

 
다음날인 2022년 7월 16일에도 <조선일보>는 "또 시너통에 고공 농성, 시대착오 극렬 투쟁 언제까지 할 건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대우조선 사장이 '법 질서를 바로잡아 달라'고 요청한 지 일주일도 넘었지만 정부는 공권력 투입을 주저하고 있다. 노조원들이 제 목숨을 무기화해 극한 투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라며 "자칫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천만한 행동"이라고 하청 노동자들의 파업을 비판했다.

또한 사설은 "같은 민노총 소속이지만 대우조선 직원 절반 이상이 가입한 대우조선 노조는 불법 파업에 반대하고 있다"며 "민노총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는 '하청지회 투쟁 장기화로 발생하는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쉽게 회복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며 파업 중단을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라면서 원청 소속 노조의 주장을 부각했다.

사설은 "노조원들이 자기 생명을 담보로 위험한 투쟁을 벌이는데 노동자의 안전을 최우선해야 할 민노총은 이들을 만류하긴커녕 위험한 극한 행동을 부추긴다"며 "언제까지 이런 시대착오적 방식의 노동 운동을 계속할 건가"라고 비판을 이어갔다. 당시 파업을 주도한 노동자들이 문제 삼은 하청 노동자들의 열악한 처우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2022년 7월 20일에도 "수천 억 피해 주고 '책임 면제' 요구, 노조 악순환 이번엔 끊자"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1%가 같은 동료 하청 근로자인 99%의 삶을 더 어렵게 만드는 명분 없는 투쟁을 벌이다 이제 와서 일체의 책임을 면제해달라는 흥정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았다"며 파업을 노골적으로 비난했다.

태그:#조선일보, #대우조선해양파업, #노동시장이중구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