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엄마, 경찰이야. 풀오버(pull over: 차를 한쪽으로 대는 것) 해야 돼.”

 

포트 리퍼블릭 로드에서 네프 애비뉴로 좌회전했을 때 자동차 뒤로 뭔가 번쩍거리는 불빛이 보였다. ‘저게 뭐지?’ 차 안의 룸미러를 보고 있는데 조수석에 앉은 큰딸이 말했다. 경찰이라고.

 

“뭐, 뭐라고? 경찰이라고?”

  
지난 해 11월 2일 금요일. 두 딸이 다니는 고등학교에서 마지막 풋볼 홈경기가 열렸다. 이 날은 마침 홈커밍 데이여서 다른 날보다 경기가 늦게 끝났는데 나는 마칭밴드에 있는 아이들과 함께 오느라 거의 네 시간을 추위에 떨고 있어야 했다. 
 
밤 11시가 다 된 늦은 시각. 내리막길인 포트 리퍼블릭 로드를 내려오는데 파란 신호등이 눈에 들어왔다.
 도로를 다 내려와 네프 애비뉴로 좌회전을 하려고 할 때 신호등은 노란불로 바뀌었다. 브레이크를 밟을 것인지 액셀러레이터를 밟을 것인지 순간 망설였다. 하지만 늦은 밤, 내리막길, 추위에 떨었던 몸, 빨리 집에 가고 싶은 마음 등 갖가지 생각이 머리 속에 떠올랐다.

 

'에이, 그냥 가자.' 

 

힘껏 액셀러레이터를 밟았다. 그리고 가볍게 좌회전을 했는데…. 아뿔싸, 그만 경찰차가 순식간에 따라 붙은 것이었다. 번쩍거리는 경광등과 함께 내 차를 바짝 좇아오고 있는 경찰. 온 몸이 다 얼어붙는 느낌이었다. 으악~
 
“엄마, 빨리 옆으로 대.”
“어떡하니, 노란불이었는데…. 노란불 맞지? 나, 지금 걸린 거니? 어떡하지?.”
“어떡하긴? 그냥 딱 걸린 거지. 엄마, 나가지 말고 가만히 있어. 경찰이 옆에 올 때까지.”

 
미국에서는 경찰에 걸리면 경찰이 다가올 때까지 밖으로 나가면 안 되고 수상한 행동을 취해서도 안 된다는 얘길 누누이 들었던 터라 불안한 마음으로 가만히 앉아 있었다. "어떡하니"만 연발하면서. 
 
“아니, 딱지를 뗄 거면 빨리 와서 뗄 일이지 왜 이리 지체하는 거야?”
 

금세 다가오지 않는 경찰을 원망하며 큰소리로 짜증을 냈다. 하지만 여전히 나는 좌불안석이었다. 아마 경찰은 붙잡힌 차에 대해 차적을 조회하고 무슨 위험한 일이 없는지를 파악하고 있는 듯했다.  


“하이, 제가 파란불에서 노란불로 바뀔 때 좌회전을 했는데요. 뭐가 잘못 됐나요?”
“버지니아 주에서는 노란불에서도 무조건 정지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부인이 돌았을 때는 빨간불로 바뀌고 있었습니다.”


“아닌데요. 노란불이었는데요. 제 아이들도 다 봤는데요.”
“운전면허증과 차량등록증 좀 보여주시죠.”

 
떨리는 마음을 진정시키며 설명을 했지만 경찰은 결국 딱지를 건넸다. 으윽. 그렇게 딱지를 떼인 뒤 나와 경찰 사이에 별 영양가(?) 없는 이야기가 오고 갔다.
 
“오늘 풋볼 홈 경기 마지막 날이거든요. 마침 제 아이들이 마칭 밴드에 있어서 저도 오랫동안 밖에 있느라 추위에 떨었는데요. 그리고….”
“오, 그래요? 아이들이 뭘 하는데요?”
“컬러가드랑 퍼커션이요.”


“저도 학교 다닐 때 드럼라인에 있었는데, 따님은 무슨 악기를 하죠?”
“베이스 드럼이요.”
“아, 그래요. 반가워요. 나는 테너 드럼이었는데.”

 

 

사람 좋게 생긴 경찰관은 차 안을 들여다보며 두 딸에게 아는 체를 하며 인사도 건넸다. 사실 이런 쓸데없는(?) 얘기는 딱지를 떼이기 전에 했어야 했다고 아는 사람들은 말했다. 미국 경찰도 때로 인정에 호소하면 봐주기도 한다며…. 하지만 그때는 아무 생각도 안 났다. 

 

어쨌거나 그날 밤 나는 처음으로 딱지를 떼였다. 어떻게 하는 거냐고 경찰에게 물으니 벌금을 물든가 코트(법정)에 나가든가 둘 중에 선택할 수 있다고 했다.

 

“벌금이 얼마죠?”
“그건 전화해서 알아보세요.”

 

다음 날 경찰서로 전화를 해보니 161불이라고 했다. “뭐, 뭐라고? 161불?” 15만원 정도 되는 큰 돈이었다. 아는 사람들에게 물으니 처음 딱지를 떼였으니 코트에 가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했다. 

 

“가서 얘길 잘 하면 깎아 주기도 하니까 한 번 가 봐요. 경험이니까.”

 

결국 코트에 가기로 했다. 그런데 가야 할 날이 마침 학교 강의가 있는 날이어서 연기를 해야 했다. 교통 관련 코트는 몰아서 한 달에 한 번씩만 열린다고 했다. 그래서 잡힌 날이 바로 한 달 뒤인 2008년 1월 2일. 새해 이튿날.

 

새해를 맞자마자 코트부터 가야 한다는 게 사실은 기분 나쁘고 찜찜한 일이긴 했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이미 벌어진 일인데. 결국 생각을 바꾸기로 했다. 이런 색다른 경험도 나중에는 추억(?)이 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순진하게도.

 

 

 

 

드디어 D- day. 전날까지만 해도 법정에 서게 된 엄마를 불쌍히 여겨 함께 갈 것처럼 얘기하던 아이들도 겨울방학의 단잠을 핑계로 나를 외면했다. 차가운 겨울 바람이 불던 지난 2일 아침 8시 반. 해리슨버그 코트로 향했다. 무거운 마음만은 아니었다.

 

사실은 철딱서니(?) 없게도 이번 사건도 <오마이뉴스> 기사거리가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가벼운 흥분이 일기도 했다. 못말리는 시민기자? 우아하게(?) 커피를 들고 트렌치코트를 입은 긴 토트백의 여인, 코트 입구에 당당히 섰다.

 

"액체는 반입이 안 되는데요."

"그래요? 몰랐어요. 그럼 여기 두고 갈게요."

 

새해 이튿날이어서인지 재판 받으러 온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All rise! (모두 기립하시오)”

 

‘이혼법정’과 같은 법정 관련 TV 프로그램에서 많이 들었던 표현이 귓전을 때렸다. '아, 여기가 바로 미국 법정!' 맨 앞에 앉은 근엄한 판사와 옆의 서기, 제복을 입고 나온 경찰 넷, 양복을 입은 변호사, 자리에 앉은 피곤한 표정의 피고인들. 조용한 코트 안의 풍경이었다. 

       

 

잠시 뒤, 판사가 내 이름을 불렀다. 내게 딱지를 건넨 경찰과 내가 판사 앞에 섰다. 오른손을 들고 진실만 말하겠다는 선서를 한 다음 옆에 선 경찰이 나의 교통법규 위반 사실을 설명하기 시작했다. "속도를 내서 오다가 그만 빨간불에 갔다"고. 경찰의 말이 끝나자 이번에는 판사가 내게 할 말이 있냐고 물었다. 준비한 말을 쏟아냈다.

 

나: “빨간불에 간 게 아니예요. 포트 리퍼블릭 로드는 내리막길인데(판사도 고개를 끄덕끄덕), 마침 그 날은 해리슨버그 고등학교 풋볼 홈커밍 데이가 있던 날이었어요. 날이 몹시 추웠는데 경기가 끝난 뒤 마칭 밴드에 있던 두 딸을 (준비해 간 마칭밴드 사진을 내보이며) 태우고 오느라 시간이 많이 지체되었는데요.”
판사: “흠, 딸들이 예쁘군요.”

 

나: “그날 밤 10시 50분, 포트 리퍼블릭 로드의 신호는 노란불이었어요. 밖에 오래 있어서 추위에 떨었던 나는 빨리 집에 가고 싶은 마음에 네프 애비뉴로 좌회전을 했어요. 노란불에 정지해야 한다는 생각은 미처 못했어요.”
판사: “벌금 25불. (땅땅!)”

 

싱겁게 끝났다. 벌금은 25불로 감해졌다. 하지만 코트비용 61불을 더해 86불을 내야 했다. 사실 이것도 적은 돈은 아니었다. 하지만 코트에 가지 않았으면 161불을 내야 했던 걸 생각하면 그나마 75불을 절약한 셈이었다.
 
순진한 생각으로 미국 법정에 서 봤다. 하지만 코트라는 곳이 그렇듯 가볼 만한 곳은 못 되는 것 같다. 그나저나 날 위로해 주는 미국 친구의 말처럼 그 경찰관은 정말 심심했던 것일까.
 
"나영, 네가 운이 나빴던 거야. 그 밤중에 노란불 내리막길에서 좌회전 하는 널 잡은 걸 보면 말이야. 그곳은 오히려 정지하는 게 더 위험할 때도 많은 곳이야. 그래서 사고도 잘 나고. 아마 경찰이 심심했던 모양이야. 그러니 너무 상심하지 마."

태그:#교통경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