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마티즈 크리에이티브가 본격적으로 출시됐다. 유동성 금융위기 이후 GM대우 군산, 창원 공장은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상황에서 GM대우도 결국 1일부터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제공:GM대우)
 마티즈 크리에이티브가 본격적으로 출시됐다. 유동성 금융위기 이후 GM대우 군산, 창원 공장은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상황에서 GM대우도 결국 1일부터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제공:GM대우)
ⓒ 한만송

관련사진보기


GM대우도 결국 1일부터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GM대우는 1일부터 10일까지 5년 이상 차장급 이상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희망퇴직 실시 여부는 지난 8월부터 입소문으로 현장에 퍼진 상황이다. GM대우는 희망퇴직을 신청하는 직원에게는 퇴직금과 함께 근속연수별로 최대 18개월치의 위로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번 희망퇴직과 관련해 GM대우 관계자는 <부평신문>과 한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일부에서 제기하는 구조조정과는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만약 10일까지 희망퇴직자가 없거나 적게 되면 어떻게 되냐는 물음에는 "그때는 상황을 봐야 할 거 같다"면서 여운을 남겼다.

사무직을 중심으로 희망퇴직을 받는 것과 관련, 전국금속노동조합 GM대우자동차지부 관계자는 8월 31일 인터뷰를 통해 '군살빼기'로 바라봤다.

GM대우 노조 관계자는 "희망퇴직은 사무직에서 받고 있는데, 과거에 비해 노동조합에서 개입을 하고 있지 않다"면서 "창원과 군산에 물량이 넘치고 있어 인력구조에 대해서 걱정 없다"고 일부에서 제기되는 구조조정 전 단계가 아니냐는 의문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밝혔다.

특히 "GM이 New GM으로 가면서 군살빼기를 했던 것처럼 GM대우도 군살빼기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GM대우 사무노조 측은 단순한 군살빼기 수준을 넘어설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최근 임금 10%를 삭감당한 사무직은 미국 경영진이 지난해 발생한 파생상품 손실에 대한 책임도 구체적으로 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들이 첫 번째 희생양이 됐다고 보고 있다.

GM대우가 금융감독원에 공시한 2008년 손익계산서를 보면, 지난해 290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고도 8700억 원에 달하는 순손실을 기록했다. 대부분 환율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환헤지' 등 파생상품 손실에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GM대우 사무노조 관계자는 "부분적으로 군살빼기로 보이나, 단정하기는 어려운 수준으로 내용상으로는 대상을 찍어서 압축해서 들어갔다"면서 "예상인원은 약 200명에서 300명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어떻게 작용할지는 아직 예측하기 어려운 단계이기 때문에 구조조정 후폭풍은 아직 단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GM대우 한 사무직 조합원은 "사무직을 희생양 삼아 환투기 손실을 어물쩍 넘기는 GM대우 경영진은 무책임하다"며 경영진에 대한 불신을 나타내기도 했다.

한편, GM대우는 1일 인천시 부평 본사에서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1호차 전달식을 열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부평신문(http://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희망퇴직, #GM대우, #마티즈 크리에이티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