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5회째 맞아 한국과 일본에서 개최

 

지난 9월 20일 한·일 양국의 수도 한복판인 서울광장과 도쿄 롯폰기힐스 아레나 광장에서는 20일 '한일축제한마당 2009' 행사가 동시에 열렸다.

 

한일 수교 40주년이던 2005년에 시작해 올해로 5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지난해까지 서울에서만 열렸지만 올해는 도쿄에서도 같은 시간에 열렸다. 또한, 도쿄에서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 동안 진행되어 한일 문화교류의 의미가 더욱 깊었졌다. 특히 일본에서는 하토야마 총리 취임 이후, 그 부인인 미유키씨의 첫 국제 행사가 '한일 축제 한마당 2009 in 도쿄'였고 그 현장에서 한국어로 인사했던 것이 인상 깊었다.

 

그 당시 추석과 이사를 앞두고 바쁘게 축제에 참가하면서 아이들 데리고 정신 없이 다녔기 때문에 자세한 취재도 못했고 한동안 잊고 있었다가 우연히 추석 때 '한일 축제 한마당 2009 in 도쿄'의 다큐멘터리 방송이 나왔던 것을 보면서 특히 일본에서 살아왔던 재일 한국인 2세 3세들의 감격한 모습을 보면서 더욱 깊은 뜻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다시 이 축제 담당자들에게 물어보고 싶은 마음으로 한국 사무국에 메일을 보냈더니 작년부터 이 행사에서 부위원장 겸 홍보팀장을 맡고 있는 윤태원씨가 답해주었다. 아래의 내용은 그 분의 개인적인 생각이라는 것을 알리며 거의 그대로 기재한다.

 

청소년 교류 한마당을 기본으로 하며

 

- 먼저 이번 축제에서 어떤 역할을 하셨던지 그리고 어떤 계기로 그 일하시게 된지 알려 주세요.

" 저는 한일축제한마당의 부위원장 겸 홍보팀장을 맡고 있는 윤태원입니다. 제가 하는 일은 한일축제한마당의 한국 내 언론에 홍보를 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일본지방자치단체 한국 홍보, 광고 업무를 하는 회사의 대표로 재직을 하는 관계로 이 일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운영에 합류 한지는 2년 되었으며, 그 전에는 도호쿠 지방, 시즈오카 현 관련으로 축제에 참석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의 참가 인수 등 알수 있으면(한국,토쿄의 참여 팀과 관객수)

" 서울에 참석인원은 약 6만명 정도 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서울은 1일 행사였습니다. 동경은 오모데산도에 8만명(퍼레이드), 록본기에 6만명 (3일간 )추산하고 있습니다."

 

-그 일 하시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이나 보람을 느꼈던 일화가 있었다면 알려 주세요.

" 힘든 일은 그 다지 없습니다만,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운영위원이라 한달에 한번 시간을 내서 하는데 가끔 일이 겹쳐 참석치 못해 다른 팀원에게 미안할 때가 많습니다.

 

보람 된 일은 서울시민의 많은 호응이 있어 관람객이 많아지는 것이 좋은 것 같고, 문화적 행사로 인해 양 나라가 좀더 가까워지는 것 같은 느낌이 좋습니다. 즉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지난 '한ㆍ일 정상회담'에서도 '한일 축제'의 이야기도 나왔던 것 같은데 실제로 이번의 축제가 사회적으로 어떤 효과를 나타냈다고 생각하십니까?

"  입장에서 보면 이런 기회가 자주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일간은 늘 가깝다고는 하지만 항상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냉랭한 분위기를 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민간인 차원에서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닌 것도 언론이나 정치적으로 큰 이슈다 보니 국민들은 이 문제에 심각하게 받아드립니다.

 

앞으로 좀 더 민간 차원에서 이런 문화적 행사로 자주 접하다 보면 양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서로 거래에서도 오해가 풀릴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도 한국과 일본의 습관이나 풍습은 비슷한 것 같으면서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이점이 해결되어야 가까운 나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작년과 다르게 이번에 시행 했던 내용들이 있었다면.

"작년에는 2일 행사였는데 올해는 1일 행사로 축소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프로그램보다는 체험 프로그램을 추가했습니다. 특이 할 만한 프로그램은 한일 다도체험 비교, 기모노-한복 입기 체험, 한국 민속놀이 등과 일본술과 한국막걸리 비교 체험 등이 작년과 다른 특이한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이 축제에 대해서 가장 홍보하고 싶은 내용은?

" 이 축제는 기본적으로 청소년 교류 한마당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운영위원을 맡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은 제외 한 행사장 자원 봉사자들은 대부분 학생들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우연히 일본 대학생도 참가하게되고나 더욱 듯 깊은 행사가 되었던 같습니다.

아울러 프로그램에 참석을 하는 단체 역시 학생들 중심의 공연 단체가 많았으며 전문 단체는 행사의 질을 고려해 참여시키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청소년 교류에 목적이 있다는 점을 알리고 싶은 점입니다."

 

인터뷰를 마치면서

 

▲ '한일축제한마당 2009' 1부
ⓒ 야마다다까꼬

관련영상보기

 

인천의 한일가정 요사코이 춤 동아리인 'YOSAKOI KOREA JIN'이 참가한 것을 계기로 2005년에 이 축제에 참가하게 되면서 가능한 한 취재를 했다. 항상 어린 아이들 데리고 가면서 앉을 자리 잡기도 힘들었지만 이번에는 편하게 배부된 돗자리를 가지고 앉을 수 있었던 것이 우리 같은 어린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가장 좋았던 것 같다. 그리고 솔직히 말해 나에게 가장 기뻤던 것은 작년에는 늦은 시간이라서 아이들 데리고 외출이 어려워 보지 못했던 가수 윤하씨의 공연도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먼저 데뷔한 그녀가 학교도 휴학하고 어린 나이에 홀로 한국을 떠나 일본에서 활동해 성공한 모습을 몇년 전 어떤 방송에서 보면서 그녀의 노래도 좋아하게 되었던 것이다. 처음부터 상업적인 전략으로 일본에서의 활동하게 된 연예인들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보통 여학생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겠다는 똑바른 자세가 인상적이며 보기 좋았다.

 

▲ 윤하 초청특별공연
ⓒ 야마다다까꼬

관련영상보기

 

일본TV에 관심이 많아 어릴 때부터 일본어를 독학으로 공부해왔던 덕분인지 그녀와 그녀의 노래에는 한 일 양국간에 통할 매력이 있었던 것 같다.

 

윤태원 부위원장의 "청소년 교류에 목적이 있다는 점을 알리고 싶." 는 말에 따르면 앞으로도 이 축제를 통해서 많은 한 일간의 청소년 교류가 일어날 것을 기대하며 윤하 같이 여러 분야에서도 한 일간에서 활약 할 청소년들을 늘릴 수 있게 될 것을 기대한다.

 

그리고 우리도 먼저 일본에서 한국에 온 자로서 한 일 간의 가교(架橋)가 되며 기회가 있으면 문화통역자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으면 한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한우리 신문(http://paknews.kr/)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축제, #일본, #서울, #윤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4~ 이주민영화제(MWFF) 프로그래머 참여 2015~ 인천시민명예외교관협회운영위원 2017년~2019년, 이주민방송(MWTV) 운영위원 2021년 ~ 인천서구마을공동체 웃서모 대표 겸임 2023년~ 인천 i-View 객원기자 겸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