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늘(3일) 조선일보가 정치면에 민주당 정세균 대표의 인터뷰를 대문짝만하게 실었다. 기사 제목은 <"재보선은 작은 승리…우린 과감히 변할 것">. 조선일보는 정 대표가 지난 1일 기자간담회에서 밝혔던 내용을 인터뷰 기사로 다시 한번 부각해준 것이다.

 

 

1일 정 대표는 10·28 재보선을 평가하고 향후 민주당의 과제에 대한 견해를 밝혔는데 그 내용이 매우 추상적일 뿐 아니라 논란을 초래할만한 것이었다. 그는 "과감하게 변하겠다"면서 '지난 10년의 정체성에 매달리지 않겠다', '좌우의 틀을 벗어나겠다'는 등의 발언을 했다.

 

그러자 2일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정 대표의 발언에 반색하며 '뉴 민주당 플랜을 살려라', '미디어법 반대 투쟁부터 접으라'는 주문을 내놨다.

 

중앙일보는 사설 <민주당, 이번엔 '진정한 변화의 길'로 들어서나>에서 정 대표의 선언이 "재보선에서 거둔 좋은 성적을 바탕으로 민주당의 정책적 쇄신을 단행하겠다는 의미"라고 추켜세웠다. 그러면서 정 대표와 민주당이 나아갈 변화의 방향을 제시했는데, 야당의 역할을 포기하고 '짝퉁 한나라당'이 되라는 주문이나 다름없었다. 

 

사설은 민주당이 지난 5월에도 탈(脫)이념을 선언해놓고 "죽기 살기식 미디어법 반대투쟁", "이념형 서거정국 투쟁"을 벌였다며 "뉴 민주당 플랜은 '실종 신고'라도 해야 할 상황"이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어 "이번에도 정 대표는 모순된 태도를 보인다"면서 "좌·우를 떠난 실용적 변화를 외치면서도 세종시나 4대강 사업 그리고 미디어법에 대해선 다시 이념형 투쟁을 선언하는 것"이라고 유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재·보선에 작은 승리에 도취돼 다시 방향 감각을 잃으면 '뉴 민주당 플랜'은 실종이 아니라 사망 신고를 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거듭 민주당의 우경화를 부추겼다.

 

 

동아일보는 <정세균 대표의 탈이념 승부론과 헌재 불복>이라는 사설을 싣고 좀 더 노골적으로 언론악법의 수용을 촉구했다.

 

사설은 정 대표의 발언을 전하며 "민주당이 10·28 재·보궐선거에서 선전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번 '탈이념 실용노선' 약속을 실행으로 옮기기를 기대한다"고 일단 추켜세운 뒤 '본론'으로 들어갔다.

 

사설은 "정 대표는 올봄에도 이념에 얽매이지 않는 실용 중심의 '뉴 민주당 플랜'을 추진하려다가 노무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잇단 서거 이후 당내 386 출신과 일부 친노무현 세력에 떠밀려 강경투쟁 노선으로 회귀한 적이 있다", "정 대표가 강경 장외투쟁에 매달리는 내부의 수구적 '탈레반 세력'을 제어하지 못하고 당내 입지 확보에만 연연한다면 민주당은 지지기반 확대에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뉴 민주당 플랜'식의 노선을 밀어붙일 것을 촉구했다. 

 

나아가 "민주당의 노선 변화는 헌법재판소가 '유효'라고 결정한 미디어관계법 수용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정 대표가 새로운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려면 미디어법 처리에 반발해 천정배 최문순 의원과 함께 김 의장에게 제출한 의원직 사퇴서부터 거둬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3일 조선일보의 '정세균 띄워주기' 인터뷰 기사는 이런 중앙·동아일보보다 교활한 수법이다.

 

지금이 어떤 때인가? 헌재가 비상식적인 판결로 '조중동 방송' 강행 추진에 손을 들어주면서, 민주주의의 근본을 흔들었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언론법을 재논의 해야한다고 촉구하며 '무효언론악법 폐지투쟁위원회'를 만들었다.

 

이런 때 당 대표가 언론악법의 최대 수혜자인 조선일보에 얼굴을 내밀고 거듭 "우리는 변하겠다", "중도 진영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좌우 이념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변화'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는 이명박 정권의 그동안 행태에 "투쟁은 불가피했다"면서도 "이명박 정권도 이제 중반기에 접어들면서 무리수를 둘 만한 여력이 없어질 것이고 우리도 거기에 맞춰 새 노선을 정립하겠다는 것"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설명도 내놨다.

 

우리는 정 대표와 민주당이 이런 인터뷰에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 궁금하다. 만약 '조선일보에서도 우리 당 대표를 크게 키워주었다'거나 '세종시 원안 추진 등 정권에 비판적 발언도 했다'는 식으로 자족한다면 더 이상 어리석은 일이 없다.

 

지금 민주당은 위기에 처한 민주주의와 언론악법에 맞서 의원직은 물론 당의 운명을 걸고 싸워도 부족할 판이다. 말로만 '언론악법 재논의'를 외친다고 이 정권과 한나라당이 들어줄 것인가? 하물며 그토록 반대해왔던 '조중동 방송'의 당사자인 조선일보의 인터뷰에 응해 "변화", "중도" 운운한 자체가 수구기득권 세력에게 비웃음을 살 일이다. 나아가 민주당에 일말의 기대를 건 국민들에게는 허탈감과 혼란을 심어주고 언론악법 무효 투쟁의 진정성을 의심스럽게 만드는 행태다.

 

조선일보가 정 대표를 띄워준 오늘, 경향신문은 사설을 통해 정 대표의 "과감한 변화" 천명을 비판했다.

 

경향신문은 민주당이 "한때는 뉴민주당 플랜을 제시하며 우경화로 시선을 돌렸다가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정국에 편승해서는 진보의 강화를 언급한 바 있다", "이번에는 다시 우경화해도 괜찮겠다는 암시가 묻어나기는 하지만 여전히 모호하다"며 정 대표가 말한 '변화'의 모호함을 꼬집었다. 아울러 "만일 재보선 승리가 민주당의 우경화에 대한 시민들의 승인으로 판단한다면, 그것은 큰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그 동안 민주당의 지지율이 올랐을 때가 언제였는지 따져보면 경향신문의 이 같은 지적은 더욱 설득력을 얻는다.

 

나아가 경향신문은 정 대표의 기자간담회를 두고 "내년 지방선거까지 현재의 지도력으로 그럭저럭 해나갈 것이라는 생각 이상이 보이지 않는다"며 "이런 제1야당의 한계가 곧 한국 민주주의의 한계가 될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정 대표와 민주당이 귀 기울여야 할 목소리는 조중동의 '칭찬', '띄워주기'가 아니라 이런 쓴 소리다. 특히 민주주의의 위기 앞에 민주당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함으로써 민주주의가 후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지금 정 대표와 민주당이 결코 해서는 안 될 일 중 하나가 '조중동에게 칭찬받을 수 있는 일'이다. 조중동은 언제나 수구기득권 세력의 이익을 위해 앞장서는 집단이다. 뒤집어 말해 민주당이 수구기득권 세력에게 유리한 행보를 보일 때에만 조중동으로부터 칭찬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2일과 3일에 걸쳐 조중동이 정 대표의 "변화" 발언에 어떻게 반응했는지, 왜 그런 반응을 보였을지 지금이라도 성찰해보라. 이렇게 나가면 정 대표도 민주당도 망가지는 길이다. 만약 민주당이 조중동의 세 치 혀에 현혹돼 '짝퉁 한나라당'의 길로 나아간다면 국민들은 민주당을 버릴 것이다.

 

거듭 촉구한다. 민주당과 정 대표는 언론악법 저지와 민주주의 수호에 의원직과 당의 명운을 걸고 싸워라.

 

조중동에게도 한마디 덧붙이겠다. 조중동이 정세균 대표의 발언을 띄우고 나선 이유가 무엇인지 민주당은 몰라도 국민들은 잘 알고 있다. 국민을 얕잡아 보고 '얕은 수'로 정권 비판 세력을 이간질하려 들지 말라. 조중동이 그토록 이명박 정권을 옹호하고 엄호했어도 국민은 재보선을 통해 이 정권을 심판했다. 이번 재보선에서 진 것은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만이 아니다. 조중동 역시 국민에게 졌다.

 

설령 야당이 조중동에게 휘둘려 방향을 잃고 흔들린다 해도, 역사의 긴 흐름에서 국민은 언제나 냉정한 판단을 내렸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조중동은 결코 역사의 승자가 될 수 없다.

덧붙이는 글 | 원문은 민언련 홈페이지(www.ccdm.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조중동, #정세균, #언론악법, #민주당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