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동국사는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유일한 일본식 사찰이다.
 동국사는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유일한 일본식 사찰이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강압으로 개항된 군산에는 일제시대의 근대유산들이 많이 남아 있다. 그중에서 여행자의 눈길을 가장 강하게 끈 것은 동국사였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져 현재까지 남아 있는 일본식 사찰은 모두 없어지고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75도에 이르는 지붕물매(지붕의 경사진 정도)의 급경사는 보는 이를 당혹케 한다.
 75도에 이르는 지붕물매(지붕의 경사진 정도)의 급경사는 보는 이를 당혹케 한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동국사는 1909년 6월에 일본인 승려 우찌다에 의해 금강선사라는 이름으로 포교소로 창건되었다가 1913년에 현 위치로 옮겨 대웅전과 요사를 신축하였다.

대웅전 내부는 목조로 되어 있으며 석가삼존불은 나무에 흙을 입혀 만든 불상이다.
 대웅전 내부는 목조로 되어 있으며 석가삼존불은 나무에 흙을 입혀 만든 불상이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주요 건물은 대웅전, 종각. 요사채로 단출하지만 동국사는 한국의 전통사찰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특히 75도에 이르는 지붕물매(지붕의 경사진 정도)의 급경사는 보는 이를 당혹케 한다. 건물 외벽에 많은 창문이 달린 것도 특징이다. 화려한 단청이 채색되어 있는 우리나라 사찰의 단청과는 달리 아무런 장식이 없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소박한 느낌을 주는 외관이다.

법당과 요사채는 복도로 연결되어 있다.
 법당과 요사채는 복도로 연결되어 있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대웅전은 팔작지붕 홑처마 형식의 일본 에도시대의 건축양식으로 요사채와 복도로 연결되어 있다. 요사채는 몸채를 툇간으로 둘러싼 일본 전통양식이다. 이곳에 사용된 목재는 전부 일본에서 가져온 쓰기목이라고 한다.

동국사 요사채는 몸채를 툇간으로 둘러싼 일본 전통양식이다.
 동국사 요사채는 몸채를 툇간으로 둘러싼 일본 전통양식이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동국사에서 눈여겨 볼 것은 석가삼존불과 종각이다. 삼존불은 나무에 흙을 입혀 만든 불상으로 원래는 김제 금산사에 있다가 해방 후 이곳으로 옮겨 왔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3호이다.

범종각의 동종은 1919년 일본 경도에서 다까하시라는 장인에 의해 주조되어 동국사에 봉안되었다. 범종각도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이다.
 범종각의 동종은 1919년 일본 경도에서 다까하시라는 장인에 의해 주조되어 동국사에 봉안되었다. 범종각도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이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종각에 있는 동종은 1919년 일본 경도에서 다까하시라는 장인에 의해 주조되어 동국사에 봉안되었다. 종의 몸통에는 일본 왕을 칭송하는 시구가 있어 우리의 아픈 역사를 이 범종에서 읽을 수 있다.

범종각 주위의 화강암석불상은 1917년에 조성된 것으로 관세음보살 32기와 각 띠별 십이지 수본존 보살 8기가 있다. 밀교적 성격이 강한 일본인들의 <자안관음> 신앙을 엿볼 수 있다.
 범종각 주위의 화강암석불상은 1917년에 조성된 것으로 관세음보살 32기와 각 띠별 십이지 수본존 보살 8기가 있다. 밀교적 성격이 강한 일본인들의 <자안관음> 신앙을 엿볼 수 있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범종각 주위에는 수십 기의 불상이 있다. 32기의 관세음 석불상과 밀교적 성격이 강한 일본인들의 신앙을 엿볼 수 있는 석불상들이 있다. 현재 대웅전과 종각은 등록문화재 제64호로 지정되어 있다.

요사채 앞의 펌프
 요사채 앞의 펌프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동국사는 해방 후 정부로 이관되었다가 1955년 김남곡 스님이 사찰 이름을 동국사로 바꿨다. 지금은 선운사의 말사이다. 동국사는 전북 군산시 금광동에 있다.

법당과 범종각 사이에는 예쁜 정원이 있다.
 법당과 범종각 사이에는 예쁜 정원이 있다.
ⓒ 김종길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2010.6.25여행
- 이 기사는 다음블로그 '김천령의 바람흔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동국사, #일본식사찰, #등록문화재, #군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길의 미식가이자 인문여행자. 여행 에세이 <지리산 암자 기행>, <남도여행법> 등 출간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