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 면접장에서 대기자가 두 손을 꼭 쥔 채 앉아있다.
 한 면접장에서 대기자가 두 손을 꼭 쥔 채 앉아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이전한 지방 소재 우수 공공기관들이 정작 지역 인재 채용에는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부처 공공기관의 상당수가 수도권에 몰려있어 인재의 수도권 쏠림현상도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부산고용포럼 연구팀이 발표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실태 및 개선 방안'을 보면, 취업지망생이 선호하는 우수 공공기관 일수록 지역 인재 채용에는 적극적이지 않았다. 특히 부산 지역 공공기관 중 연봉이 높은 한국거래소(평균연봉 1억580만 원)와 기술보증기금(7060만 원)은 각각 12.5%와 38.4%에 그치는 지역인재 채용 비율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를 "(우수 공공기관이) 부산에 소재하더라도 좋은 일자리는 수도권 인재에게로 돌아가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수 공공기관은 지역인재 채용에 인색했지만 전체 지역 소재 공공기관이 지역 인재 채용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지표도 일부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2007년부터 5년간 부산 소재 공공기관 8곳의 신규채용 인력 4058명 중 91.4%가 지역인재로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역시도 신규 채용을 대폭 늘린 것으로 조사된 부산대학교병원을 제외할 경우 지역인재 채용 비율은 70.1%로 급감했다. 

향후 부산으로 이전할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 비율은 기존의 8곳 보다도 현저히 낮은 수치였다. 참여정부 때부터 본격적으로 부산 이전이 결정된 공공기관 10곳의 신규채용 중 지역인재 비율은 평균 37.1%에 머물렀다. 이마저도 56.7%를 채용한 한국남부발전을 제외하면 30%를 초과한 기관이 없는 실정이었다.

일부 공공기관의 이전이 예정되어 있다지만 공공기관의 수도권 쏠림은 여전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도 부산을 포함한 동남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기관이 고용하고 있는 종사자는 전국대비 3.2%에 그쳤다.

조사에 참여한 류장수 부경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역으로 공공기관이 이전해 올 경우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우수 공공기관 일수록 지역 인재 채용에는 미온적이란 것이 함께 나타났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지역 채용할당제와 채용목표제의 병행실시가 요구된다"며 "정부는 30% 채용 권고제를 하고 있지만 이를 강제사항으로 정하고 공공기관이 내부에서 채용목표제를 정해 시행하면 정부가 예산배정이나 평가에 이를 반영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태그:#공공기관, #채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