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바야흐로 폭폭 찌는 한여름이다. 온 집안 문을 다 열어 놓아도 바람이 불지 않으면 덥다. 하지만 여름에 폭폭 찌듯이 더워야 곡식이랑 열매가 잘 익는다. 뜨겁게 내리쬐는 햇볕은 풀과 나무한테 싱그러운 기운이 된다. 더 뜨겁게, 더 기운차게 내리쬐렴 하고 해를 바라보면서 노래한다.

해가 가장 높이 솟을 무렵 자전거를 몰고 나들이를 가기로 한다. "이 더운데 어디 가?" 하고 묻는 아이한테 빙그레 웃기만 하고 아무 말을 안 한다. 올해 들어 첫 골짝 마실인 만큼 일부러 숨긴다.

땡볕과 시원한 바람을 함께 맞으면서 가는 길
 땡볕과 시원한 바람을 함께 맞으면서 가는 길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자전거에 두 아이를 태우고 골짜기를 찾아서 숲길로 달린다.
 자전거에 두 아이를 태우고 골짜기를 찾아서 숲길로 달린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물놀이를 마친 아이들이 갈아입을 옷을 챙긴다. 천 가방에 옷가지와 수건을 넣고, 책도 두 권 챙긴다. 자, 그러면 신나게 가자.

여러 해째 골짝 마실을 다니니, 아이들은 자전거가 달리는 길을 곧 알아차린다. "아, 골짜기에 가는구나. 이 길 알아. 골짜기 가는 길이잖아. 아버지, 골짜기 가요? 아하하하!"

"자, 이제 곧 오르막이니, 너희가 뒤에서 도와줘야 해." 큰아이는 야무지게 발판을 구른다. 큰아이가 밟아 주는 힘을 얻어서 길고 긴 자전거는 끙끙거리며 가파른 오르막을 타고 넘는다. 가파른 오르막을 타면서 숨이 가쁜데, 자전거에 앉은 큰아이는 "어, 저기 상수리나무네. 나, 상수리나무 알아. 아버지, 저기 왜 이렇게 상수리나무가 많아?" 하면서 이것도 묻고 저것도 묻는다. 나는 숨을 몰아쉬기도 가쁘니 아무 대꾸를 못 한다.

골짜기로 내려가는 길
 골짜기로 내려가는 길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골짝 물이 흐른다.
 골짝 물이 흐른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숲길로 깊이 들어선다. 자전거로 오르기 벅찬 곳에서 내린다. 자전거를 끌고 조금 더 올라간다. 우리가 으레 찾아가는 숨겨진 곳으로 들어선다. 풀밭 한쪽에 자전거를 놓고 골짜기 쪽으로 내려간다.

골짝 물 소리가 아주 우렁차다. 숲길에서도 물소리는 쩌렁쩌렁 퍼진다. 골짝 물 흐르는 옆에 서면 말소리도 잘 안 들려서 크게 외쳐야 한다.

골짜기로 내려가기.
 골짜기로 내려가기.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이제부터 마음껏 놀면 돼.
 이제부터 마음껏 놀면 돼.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골짝 물이 힘차게 흐른다.
 골짝 물이 힘차게 흐른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골짜기로 들어선 우리는 숲에 대고 인사를 한다. "숲아, 잘 있었니? 올해에도 자주 놀러올게. 반가워."

얼굴을 씻고 손발을 씻는다. 고무신을 벗어서 잘 빨아서 말린다. 이때부터 세 사람은 저마다 물놀이를 즐긴다. 나무 그늘이 드리워 시원한 골짜기에서는 물이 몹시 차갑다. 처음부터 몸을 담그지 못한다. 한참 골짝 물을 헤치며 걷고 몸에 물을 조금씩 끼얹은 다음, 천천히 몸을 담근다. 목만 빼꼼 밖으로 나오게 하면서 노래를 부른다

바위에 올려놓아 말리는 고무신
 바위에 올려놓아 말리는 고무신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바닥에 깔린 돌을 주우며 놀기
 바닥에 깔린 돌을 주우며 놀기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한동안 몸을 물속에 잠그면 얼얼하다. 윗몸을 일으켜 바위를 밟고 선다. 물을 말리면서 두 팔을 곧게 뻗고 춤을 춘다. 이러고 노는데 잠자리가 팔뚝에 내려앉는다. 어라, 잠자리는 내 팔을 나뭇가지로 알았나? 잠자리가 앉으니 가만히 선다. 잠자리는 날개를 쉴 생각인지 날아가려 하지 않는다. 팔이 힘들어 살살 내리니 비로소 잠자리가 날아간다.

멧새가 노래하는 소리와 물 흐르는 소리를 들으며 다시 몸을 물속에 담근다. 아이들 입에서 "이제 추워요!" 하는 소리가 나올 때까지 논다.

두 아이는 저마다 돌을 주우면서 물놀이를 누린다.
 두 아이는 저마다 돌을 주우면서 물놀이를 누린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구멍이 나서 바람이 안 들어가는 튜브로도 작은아이는 물놀이를 한다.
 구멍이 나서 바람이 안 들어가는 튜브로도 작은아이는 물놀이를 한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새 옷으로 갈아입히고, 젖은 옷은 물기를 짠다. 다시 숲길을 걸어서 자전거 있는 데로 간다. 문득 큰아이가 외친다. "아버지, 저기 버섯 있어!"  "응? 버섯 보이니?" 어디쯤 있나 하고 두리번거린다. 아하, 달걀버섯이 있네.

지난해에는 달걀버섯을 구경만 하고 못 땄다. 먹어도 되는 버섯인지 몰라서 사진만 찍었는데,  다시 찾아오니 다른 사람이 따 가고 없었다. 올해에는 달걀버섯을 우리가 먹을 수이튿날 있네. 아이 얼굴만큼 갓을 넓게 벌린 달걀버섯을 살짝 딴다. 골짝 마실을 와서 달걀버섯을 만나는구나.

갈아입을 옷에 내려앉은 벌레 한 마리.
 갈아입을 옷에 내려앉은 벌레 한 마리.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물놀이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만난 달걀버섯
 물놀이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만난 달걀버섯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낑낑대며 올라온 길을 수월하게 내려간다. 내려가는 길에서는 두 아이가 자전거에 타지 않고 달리겠다고 한다. 두 아이는 내리막을 신나게 내닫는다. 용케 넘어지지도 않으면서 저 멀리 달렸다가, 올라왔다가 내려가기를 반복하며 논다. 내리막이 끝나는 곳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자전거에 올라탄다.

집으로 가는 길에 작은아이는 어느새 잠이 든다. 실컷 놀았구나. 집에 가서 고이 누우렴. 이제 여름 내내 골짜기에 자주 놀러 오자.

내리막에서는 자전거를 안 타고 달려서 간다.
 내리막에서는 자전거를 안 타고 달려서 간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작은아이는 수레에서 어느새 잠이 든다.
 작은아이는 수레에서 어느새 잠이 든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글쓴이 누리사랑방(http://blog.naver.com/hbooklove)에도 함께 올립니다.



태그:#골짜기, #시골살이, #시골노래, #골짝마실, #물놀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