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서울 익선동 한옥골목.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서울 익선동 한옥골목.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한옥마을하면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한옥 집들을 떠올리게 되지만, 서울 종로구 익선동 한옥마을은 조금 다르다. 3호선 전철 종로3가역에서 나와 맞은편 사잇길로 들어서면 4개의  골목길이 지그재그로 이어진 후미진 동네가 나온다. 낡은 기와지붕을 한 100여 채의 한옥들이 서로 감싸듯 다닥다닥하게 모여 있는 낯선 동네 익선동이다.

가까이에 종묘, 어르신들의 낙원이 된 낙원동, 외국인들도 즐겨 찾는 관광지 인사동이 있지만 지난해까지 익선동을 아는 이는 많지 않았다. 약 100년 간 주민들과 함께 했던 좁다란 한옥 골목길에 저마다의 개성을 품은 상점들이 옹기종기 모이고 있다. 젊은 상인들이 찾아와 가게를 여니 적막했던 한옥 골목길이 한결 활기차게 변하고 있다. 동네 이름 익선동의 익선(더할 益, 좋을 善)은 고사성어 '다다익선'에 나오는 익선이다.

1920년대에 지은 한옥마을에 부는 변화의 바람

한옥 집을 최대한 살려 만든 이채로운 익동다방.
 한옥 집을 최대한 살려 만든 이채로운 익동다방.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한옥 집이라 그런지 아늑한 기분이 드는 카페 안.
 한옥 집이라 그런지 아늑한 기분이 드는 카페 안.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익선동은 서울의 다른 오래된 동네와 같이 재개발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반대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지부진하다가 무산되었고 그 와중에 주민들의 반이 떠나고 말았다. 북촌 한옥마을이 받는 지원제도도 없는데다, 빈집이 많아지면서 점점 도심 속 슬럼지역이 되어갔다. 2014년 말부터 한옥집을 개조해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허가가 났고 다양한 카페와 공방, 음식점, 게스트하우스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골목마다 자리한 상점들마다 기존 한옥의 대들보, 서까래, 기와지붕을 살린 덕분에 독특하고 이채로운 외관의 가게들이 많아 걸음걸음이 즐거웠다. 오래되고 낡은 한옥거리에 조화롭게 어울리려는 가게 주인의 고민이 엿보였다. 심지어 허물어진 한옥의 담장을 그대로 살려 꾸민 카페가 있는가 하면, 마당이 있는 아담한 한옥 집을 정감있게 살린 익동다방, 연탄불을 피워 안주와 간식거리를 파는 재미있는 현대식 거북이슈퍼는 무너진 대문을 그대로 두고 입구로 쓰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많은 상점이 들어서는 가운데에서도 한옥 골목의 모습은 크게 손상되지 않아 보였다. 현대식으로 리모델링한 가게 건너편엔 철물점과 점집 등이 아무렇지도 않게 마주하고 있어 재밌다. 그런 골목 풍경을 보노라니 건축가 조성룡(1944~) 선생이 강조했던 익선동에도 꼭 필요하겠구나 싶은 말이 떠올랐다. 조성룡 건축가는 내가 좋아하고 자주가는 한강의 선유도 공원을 설계하기도 했다.

"건축물에는 추억이 담겨 있어야 한다. 사람들이 공간 안에 머무르며 발견할 수 있는 기억들이 있어야 한다." 

우리사회는 건축물의 외관이 더 중요했던 걸까. 2007년 축구장 3배 크기에 달하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파크플라자(DDP) 설계공모에서 조성룡 선생은 2등을 하고, 자하 하디드(Zaha HADID, 1950~2016)란 외국인이 수상을 했다. 그 결과 옛 동대문운동장 대지엔 거대한 우주선을 연상케 하는 DDP가 생겨났다. 

허물어진 한옥 담장을 그대로 살려 꾸민 카페.
 허물어진 한옥 담장을 그대로 살려 꾸민 카페.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가맥(가게 맥주)에 쥐포, 오징어를 연탄불에 구워주는 거북이 슈퍼.
 가맥(가게 맥주)에 쥐포, 오징어를 연탄불에 구워주는 거북이 슈퍼.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한옥마을이니 당연히 조선 시대 건물이겠거니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익선동은 한옥과 양옥의 건축양식이 섞인 근대식 한옥마을이었다.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 조성됐다. 북촌 일대의 한옥들도 이때 생겨났다. 당시 '건양사'라는 건설개발회사를 경영했던 정세권 선생이 도시 서민들을 위한 한옥마을로 개발한 것이다.

익선동 한옥마을은 서민층이 살았던 곳답게 작고 소박한 한옥이 특징으로 한옥집들이 서로서로 지붕을 맞대고 서있는 일종의 개량한옥이다. 집 크기도 다른 한옥 집의 절반인 50㎡(15평형) ~  100㎡(30평형) 주택이 대부분이다.  상점으로 개조한 한옥 집에안 들어가 보면 ㄱ자형, ㄷ자형, ㅁ자형 등으로 형태가 다양하고 집마다 뜰 같은 아담한 마당을 갖추고 있다. 정세권 선생은 사업으로 번 돈을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아낌없이 후원하고 참여한 애국자이기도 했다. 

다채로운 상점들을 구경하며 걷다가 어쩐지 누가 쳐다보는 느낌이 들어 고개를 들어보니 어느 한옥집 지붕 위에서 고양이가 필자를 지긋이 응시하고 있었다. 마치 동네가 변하고 있지만 주인은 아직 바뀌지 않았다는 듯 당당한 몸짓과 눈빛이 인상적이었다. 흥미로운 한옥 골목 동네라고 소문이 나서 주말과 저녁에는 손님들이 많이 찾아오는 곳이 되었지만 익선동은 여전히 주민들의 공간이다.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의 공존

한옥 골목엔 할머니가 점을 봐주는 집들도 남아있다.
 한옥 골목엔 할머니가 점을 봐주는 집들도 남아있다.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주민들 삶이 함께 녹아있는 익선동 한옥마을.
 주민들 삶이 함께 녹아있는 익선동 한옥마을.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익선동의 특징이자 매력 가운데 하나는, 세련된 상점들과 세탁소·점집·한복집 들이 함께 이루는 '모던한 골목' 풍경이다. 관광지와 여행지의 차이가 이런 게 아닐까 싶다. 가까운 종로구 인사동이나 삼청동처럼 동네주민은 보이지 않고 상점, 관광객만 가득한 동네는 '핫 플레이스(Hot Place)' 혹은 유명 관광지일지는 몰라도 좋은 여행지는 아니다 라는 게 내 생각이다.

한 할아버지가 리어카를 끌고 나와 골목길에 쌓여 있는 종이박스를 싣고 있었다. 이 도시 어느 곳에서나 익숙한 풍경이라 그런지 할아버지 뒷모습이 왠지 친숙했다. "안녕하세요! 할아버지. 요즘 벌이가 좀 어떠세요?" 가볍게 인사를 하며 조심스레 말을 붙였다. 동네에 사람들이 몰려오는데 불편한 점은 없냐고 물어보았다. 해가 저물면 동네가 어두컴컴하고 썰렁했었는데 요즘은 밤에도 골목길이 환해서 좋다신다.

할아버진 익선동에서 산 지 40년이나 됐단다. 대도시 서울 한 동네에서 40년 넘게 산다면 서울도 고향이 될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들었다. 나 같으면 지겨워서라도 이사할 생각을 했을 텐데...

오랜 세월 익선동을 떠나지 않은 이유라도 있었는지 궁금했다. 바람 불면 춥고, 장마 땐 비도 새곤 하지만 햇볕이 드는 마당이 있어서 좋다고 하셨다. 어릴 적엔 연립주택, 커서는 아파트로 붕 떠서 살아온 내게 집 안마당은 어떤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걸까 궁금한 공간이다.

할아버지가 저녁밥 먹을 곳으로 알려준 백반집 '수련집'으로 갔다. 새로 생긴 음식점 '럭키분식' 옆에 있다. 동네 주민들이 단골인 20년이 훌쩍 넘은 백반집. 메뉴는 청국장·동태찌개·김치찌개 딱 세 가지로 할머니 두 분의 손맛과 인심을 제대로 맛 볼 수 있다.

고봉밥에 반찬으로 김치와 콩나물무침 외에 젓갈·깻잎장아찌·고추무말랭이무침 등이 나오는 대도 밥값은 3500원. 익선동 제일의 아니 서울 최고의 '가성비' 좋은 밥집이 아닐까 싶다. 슈퍼라는 이름을 무색하게 하는 '구멍가게'와 저렴한 술집, 고깃 골목, 점심 땐 줄을 서서 먹는 칼국수 집 등도 남아 있다.
 
아쉬운 귀갓길, 골목 어귀를 걸어 나오는데 보기 편하게 만들어 놓은 동네 지도 안내판에 소음·쓰레기·흡연을 삼가 해달라는 내용이 써 있었다. 익선동은 그저 도심 속의 '핫한' 한옥거리가 아니라, 오랫동안 주민들의 삶이 녹아있는 주거지이기도 한 곳이다. 앞으로도 그랬으면 좋겠다. 커피숍·레스토랑·와인 등 비슷비슷한 상업시설로 가득한 또 하나의 카페촌이 되지 않길 바란다. 재밌고 매력적인 도시는 변화의 바람 속에서도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이 다양한 모습으로 공존하는 곳이다.

덧붙이는 글 | * 찾아가기 : 서울 전철 종로3가역 4번 출구 도보 3분
* 지난 12월 11일에 다녀왔습니다.
* 서울시 '내 손안에 서울'에도 송고했습니다.



태그:#익선동, #한옥마을, #거북이슈퍼, #정세권, #수련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