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코로나19 백신 수송 차량이 3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에서 열린 코로나19 백신 수송 모의훈련에서 이동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수송 차량이 3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에서 열린 코로나19 백신 수송 모의훈련에서 이동하고 있다.
ⓒ 청와대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정부가 다음 달까지 진행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세부계획을 15일 공개한다.

1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정은경 청장이 15일 오후 2시 10분 충북 오송 질병청 브리핑룸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 2∼3월 시행계획'을 발표한다.

질병청은 애초 16일 브리핑을 열 계획이었으나 일정을 하루 앞당겼다.

질병청은 갑작스러운 일정 조정에 대해 "관계부처 등과 협의해 계획발표 일정을 앞당기게 됐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또 정세균 국무총리가 15일 오전 11시 접종 시행계획을 발표한다고 공개했으나 발표자와 브리핑 일정을 변경해 재공지했다.

질병청은 이번 2∼3월 접종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11일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열어 한 차례 논의를 진행했으며, 이를 토대로 접종대상을 확정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해 왔다.

첫 접종이 오는 26일부터 시작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세부 계획에는 백신별 접종 대상과 구체적인 접종 일정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쟁점이 되는 부분은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해서도 아스트라제네카(AZ)사의 백신을 우선 접종할지 여부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앞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국내 사용을 허가하면서 사용상 주의사항에 '65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한 사용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기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고령층의 경우 접종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자료가 충분치 않다는 이유에서다.

독일,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도 같은 사유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고령층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질병청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고령층 우선 접종을 결정할 경우 '효과성 논란'이 이어질 수 있다.

질병청이 지난달 발표한 접종계획에 따르면 1분기 접종 대상은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 5만명과 요양병원·요양시설 노인 및 종사자 78만명 등 총 83만명이다.

이 가운데 화이자 백신은 의료진에게 접종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힌 상태여서 요양병원·요양시설 입소자와 종사자 등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 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