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남지역 모든 시·군지역에서 오는 15일부터 6개월간 '오존경보제'가 시행된다.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최형섭)은 "여름철 주요 대기오염물질인 오존의 고농도 발생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4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20개 권역을 대상으로 오존경보제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오존경보제는 건강·생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다. 대기오염측정망에서 측정된 오존의 1시간 평균 농도가 0.12ppm 이상이면 '주의보', 0.30ppm 이상이면 '경보', 0.50ppm 이상이면 '중대 경보'가 발령된다.

연구원은 "오존경보제 운영기간 동안 상황실 운영을 통해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고농도의 오존이 관측될 경우 건강보호를 위해 신속하게 상황을 전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존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연구원은 시·군청과 교육청,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즉시 전파한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수신을 희망하는 사람은 보건환경연구원 누리집(http://www.gyeongnam.go.kr/knhe)의 '대기오염 경보 신청'을 통해 하면 된다.

공남식 연구원 대기환경연구부장은 "오존은 가스상 물질이어서 마스크로 차단되지 않고, 사람의 눈과 코, 피부를 자극하고, 폐 기능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다"며 "오존주의보, 경보가 발령되면 어린이, 호흡기 및 심장질환자 등 노약자들은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2020년 경남에는 5월 26일 사천 권역 첫 발령을 시작으로 총 12일 28회의 오존주의보가 발령되었다.
 
사천시 정촌면 대기오염측정소.
 사천시 정촌면 대기오염측정소.
ⓒ 경남도청

관련사진보기


태그:#오존경보제,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