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8월 18일 오전 10시,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는 수십개 민주화운동 단체 대표 100여명이 모여 "‘밀정공작’의혹 김순호를 경질하라! 경찰국 신설 철회하라!"라는 구호를 외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기자회견  8월 18일 오전 10시,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는 수십개 민주화운동 단체 대표 100여명이 모여 "‘밀정공작’의혹 김순호를 경질하라! 경찰국 신설 철회하라!"라는 구호를 외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윤종은

관련사진보기

 
18일 오전 10시,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민주화운동 단체 대표 100여 명이 모여 밀고 의혹 김순호 경찰국장 경질과 경찰국 신설 철회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난 7월 29일 윤석열 정부가 신설한 행정안전부 산하 경찰국 초대 국장이 된 김순호 치안감은 지난 1989년 자신이 활동했던 노동운동단체 인천부천노동자회(인노회) 동료들은 '밀고'한 대가로 경찰에 특별채용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그 이전인 1983년에는 시위에 참석했다가 붙잡혀 강제 징집돼 보안사령부의 녹화사업 대상자로 관리받으며 교내 동향 등을 수집해 보고했다. 최근 언론보도로 공개된 보안사령부 작성 문건을 보면 김 국장은 본인 해명과 달리 동향을 적극적으로 보고한 사실이 드러났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후에 인노회 부천지역 조직책을 맡게된 것도 이른바 '밀정공작'을 진행할 목적으로 위장가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김 국장이
인노회 사건 수사를 주도한 홍승상 전 경감의 도움으로 특채 되었으며 이후 대공 업무를 맡으며 각종 검거 실적으로 초고속으로 승진한 점 등이 이런 의혹을 뒷받침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민주화단체 대표들은 성명서에서 "녹화공작 대상자를 전역 후에도 군과 활동망을 유지해야 한다"는 보안사의 녹화사업 시행지침이나 "전역한 녹화공작 대상자를 프락치로 활용했다"는 국정원 과거사진실규명위원회의 보고서에 기록된 내용들이 이런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전두환 정권이 보안사나 기무사 등을 통해 김순호를 포함한 수천 명의 민주화학생운동 출신자들을 강제징집 후 시행했던 불법 '녹화사업'의 진상 또한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법치주의와 헌법, 민주주의를 훼손시키는 경찰국 신설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라며 "대신 국민적 공론화 과정과 국민적 합의를 통해 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방안을 실효성 있게 마련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며칠간 기자회견 취지에 동의하는 843명의 민주화운동 출신 인사들과 81개 민주화운동 단체들을 중심으로 연서명을 받은 후 이날 기자회견을 합동으로 열게 됐다. 

회견을 주도한 박석운 민중운동 대표는 "오늘 기자회견에 이어서 김순호 국장 경질과 경찰국 신설 철회를 주장하는 릴레이 기자회견을 계속해 나가고 내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적극 제기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박제호 강제징집녹화피해자 대표는 "전두환군부정권의 신성한 국방의무를 악용한 불법적 녹화공작의 앞잡이가 되어 동지들을 팔고 개인적 출세의 사욕으로 채운 김순호는 즉각 진실을 밝히고 국민 앞에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영문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사무국장은 "군부독재정권의 끄나풀이 되어 민주화운동 단체와 동지들을 배신하고 출세의 길을 걸어간 김순호는 어떤 변명도 필요없으며 희생당한 동지들앞에 무릎 꿇고 사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그:#민주화운동 단체들, #기자회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정론직필(正論直筆) 시민기자 되기] .....서울대 영문과, 시민단체 대표, 민주화운동에 참여, 민생 민주 평화에 관심 [기사제보] 010-3341-7670 / tomayoun@hanmail.ne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