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5박7일 일정으로 영국, 미국, 캐나다를 방문하기 위해 18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 손을 흔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5박7일 일정으로 영국, 미국, 캐나다를 방문하기 위해 18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 손을 흔들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박상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미국의 핵우산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미국과 함께 마련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18일(한국시간) 보도된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굳건한 한미 동맹의 틀 속에서 확장된 억제력을 강화할 방안을 찾고 싶다"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확장된 억제력에는 미국에 있는 핵무기뿐 아니라 북한의 핵 도발을 막을 수 있는 모든 수단의 패키지가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는 "비핵화를 선택한다면 밝은 경제적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를 하기로 하면 그것이 완료되기 전에라도 경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고 제시하기도 했다.

NYT는 또 윤 대통령은 그동안 문재인 정부 시절 이뤄진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정치적인 쇼'라고 평가한 적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윤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해 "교실에서 한 친구(북한)에게만 사로잡힌 학생 같아 보였다"고 언급했다고 NYT는 전했다.

아울러 전 정권의 외교 정책에 대해선 강하게 비판하고 차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전 정권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너무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고 평가하고 "나는 예측 가능성을 추구할 것이며, 한국은 미중 관계에서 더욱 분명한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NYT는 윤 대통령이 취임 후 그동안 취소되거나 축소됐던 미군과 합동 군사훈련을 재개하고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에 가입하는가 하면 칩4 동맹에도 참여했다고 소개했다.

한국의 이른바 '칩4 동맹' 가입이 중국을 자극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데 대해 윤 대통령은 "4개국이 긴밀히 협의하기 위해선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NYT는 전했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와 관련, 윤 대통령은 북한을 방어하기 위해 필수적인 수단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국가의 주권과 안보의 문제이지,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사드를 추가 배치하겠다고 한 대선 공약한 데 대해선 추가 조치를 하기 전 효용성 등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중국이 주장한 3불(사드 추가하지 않고, 미국 MD·한미일 군사동맹 불참) 정책에 대해서도 이는 전 정권에서 이뤄진 것인 만큼 구애받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고 NYT는 소개했다.

취임 후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윤 대통령은 양국의 대화가 끊긴 원인인 역사 문제와 관련해 일본과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일괄 타결)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앞서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 위원장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윤 대통령이 만나지 않은 것을 두고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였던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데 대해선 "완전히 사실과 다르다. 휴가 중이었기 때문에 만나지 않은 것"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윤석열, #북핵
댓글1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