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상남도의회 국민의힘 의원 기자회견.
 경상남도의회 국민의힘 의원 기자회견.
ⓒ 경남도의회

관련사진보기

 
국민의힘 경남도의원들이 23일 경남도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울경 특별연합 340만 도민 실익 있는가?"라고 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부울경 특별연합은 실익이 없다"며 '부울경 행정통합'을 내세워 논란인 가운데, 국민의힘 도의원들이 같은 입장을 보인 것이다.

이들은 "수도권에 대응한 부울경 초광역협력은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그 길은 일부의 의지로 추진된 특별연합이 아니라, 도민 다수가 원하는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했다.

지난 2월 처리됐던 '부울경 특별연합 설치 규약'에 대해, 국민의힘 경남도의원들은 "졸속추진을 강력히 반대했다"며 "그럼에도 무엇에 쫒기 듯, 문재인 정권과 민선7기 막바지에 다수의 힘으로 의결을 강행한 결과가 옥상옥의 불완전한 조직인 지금의 부울경 특별연합이다"고 했다.

이어 "그 결과 막상 출범해 보니 우려했던 대로 행정・재정적인 권한은 고사하고 알맹이도 없이, 150억원 이상의 천문학적인 예산과 140여명의 인력소요 등 막대한 행정비용만 가져올 것이 불 보듯 하고, 경남도에는 더 많은 희생을 강요하는 아쉬움만 가득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졸속 결정된 부울경 특별연합의 출범으로 우리 경남에 무슨 이익이 있는가의 문제는 향후 경남의 100년의 명운이 걸린 중차대한 문제를, 새로운 도정 집행부와 도의회가 내용을 살펴보고 이행을 결정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도민이 원한다면, 잘못된 것은 바로잡고 나은 길로 가는 것이 위민행정이다. 경남도의회도 부울경 특별연합의 실체와 행정통합 등의 정책에 대한 이해와 논의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국민의힘 경남도의원들은 "부울경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지방화시대 균형발전의 또 한축이 되어 수도권 포화문제도 해결하고 통합 부울경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주체로 나아가는데 맞춰져야 한다는 의미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필요하다면 별도의 기구구성 등, '초광역 지방정부' 개혁을 위한 보다 깊은 숙의와 합리적 대안마련으로 도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도의원은 모두 64명이고 정당 분포를 보면 국민의힘 60명, 더불어민주당 4명이다.

태그:#부울경 특별연합, #국민의힘, #경남도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