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차기 회장 선출 절차에 들어간 BNK금융.
 차기 회장 선출 절차에 들어간 BNK금융.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BNK금융지주가 차기 수장 선출 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낙하산·관치" 반발 여론도 커지고 있다. 

14일 BNK금융지주에 따르면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2일 회의를 열고 최고경영자(CEO) 후보군을 확정했다. 이날 공개된 후보군은 내부 9명, 외부 9명 등 모두 18명이다. 임추위는 이들로부터 지원서를 받아 다음 주 중 심사 평가를 시행한다. 1차 후보군을 추려내면 2차 후보군을 압축해 최종 후보자를 가릴 계획이다.

명단을 보면 내부 후보군은 승계 규정에 따라 안감찬(59) 부산은행장, 이두호(65) BNK캐피탈 대표 등이 이름을 올렸다. 외부 후보군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를 선언한 이팔성(78)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BNK금융지주는 2018년 내부 승계로 회장을 뽑는다는 규정을 만들었다. 그러나 최근 금융감독원과 정치권의 폐쇄성 지적에 따라 이사회에서 이를 수정했다. 외부 인사를 후보군에 포함시켜 회장이 될 수 있는 길을 연 셈이다.

이를 고려한 임추위의 "최대한 공정한 승계절차 진행" 강조에도, 내부 여론은 냉랭했다. 하루 전 NH농협금융지주 임추위가 신임 회장 후보자로 이석준 전 박근혜 정부 국무조정실장을 단독 추천했기 때문이다. 이 전 실장은 윤석열 캠프에 합류했고, 당선인 특별고문으로 활동했다.

금융 노동자들은 BNK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같은 날 대통령집무실 앞을 찾았던 권희원 BNK부산은행 노조위원장은 인사 논란을 겨냥해 "조직 비전보다 정치권 동향만 바라보게 될 것이고, 보은 인사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라고 우려했다.

권 위원장과 함께 공동성명을 발표한 전국금융노동조합,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참여연대 등은 "대통령의 말과 달리 낙하산, 모피아 똬리가 어른거리고 있다"며 "이대로 간다면 막을 방법은 투쟁 뿐"이라고 후속 대응을 시사했다. 지난 인수위 시절 윤 대통령이 젊은 인재 선발과 낙하산·청탁 인사 금지를 주문한 것을 다시 소환한 것이다.

지역의 여러 단체 역시 낙하산 인사 반대 행동에 합류했다.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부산YMCA, 부산YWCA 등은 "중앙정부, 정치권 인사는 명백한 관치"라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시민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처사가 벌어지고 있다"라고 규탄했다.  

태그:#BNK, #NH, #윤석열, #낙하산 논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