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4회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 재의요구권(거부권)을 의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4회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 재의요구권(거부권)을 의결했다.
ⓒ 대통령실 제공

관련사진보기

    
미국 정보기관의 국가안보실 도청에 대한 대통령실의 '수세적 대응' 탓일까.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14일 한국갤럽 4월 2주차 조사에서 30%대 밑으로 떨어졌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60% 중반대를 찍었다.

한국갤럽은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응답률 8.2%)에게 무선(95%)·유선(5%)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윤 대통령 국정수행 긍·부정평가 여부 등을 물었다. 그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4%p 하락한 27%로 나타났다.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4%p 오른 65%였고 그 외는 '어느 쪽도 아님' 혹은 '모름/응답거절' 등으로 의견을 유보했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한국갤럽 조사기준 27%로 집계된 건, 작년 10월 3주차 조사 이후 약 반년 만이다. 참고로,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한국갤럽 조사에서 취임 후 석달 째인 작년 7월 말 처음 30% 아래로 떨어진 바 있다. 이후 '만 5세 입학 학제개편' 논란이 불거졌던 작년 8월 초와 미 방문 당시 비속어 논란이 불거졌던 작년 9월 말에 최저치인 24%를 기록한 바 있다.

대구·경북, 부정평가 16%p 올랐다

특성별 응답자 변화를 보면 거의 모든 응답층에서 긍정평가가 하락했다. 특히 다른 응답층에 비해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봤던 영남 지역과 여당 지지층, 이념성향별 보수층에서도 긍정평가가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6%p▼, 35%→29%, 부정평가 64%)과 대전·세종·충청(6%p▼, 34%→28%, 부정평가 64%)의 긍정평가 하락 폭이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 긍정평가 하락이 컸던 지역은 인천·경기(5%p▼, 26%→21%, 부정평가 71%), 부산·울산·경남(4%p▼, 40%→36%, 부정평가 55%), 대구·경북(1%p▼, 45%→44%, 부정평가 53%) 순이었다. 특히 대구·경북의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16%p 오른 결과였다. 지난주에 의견 유보층이 19%였는데 이번주는 2%였다. 

연령별로는 50대의 긍정평가가 가장 크게 내려갔다. 50대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9%p 내린 22%,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11%p 오른 76%로 나타났다. 40대의 긍정평가도 전주 대비 7%p 내린 15%,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8%p 오른 81%로 집계됐고, 30대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6%p 내린 13%, 부정평가는 7%p 오른 81%였다. 18·19세 포함 20대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2%p 내린 14%로 나타났지만 부정평가도 전주 대비 5%p 내린 63%로 집계됐다.

그간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60대와 70대 이상에서도 흐름은 비슷했다. 60대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변화 없는 47%였지만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1%p 오른 48%였다. 70대 이상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2%p 내린 54%,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변화 없는 34%였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이념성향별 보수층의 긍정평가도 하락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6%p 내린 68%,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6%p 오른 25%로 나타났다. 보수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2%p 내린 54%, 부정평가는 5%p 오른 41%로 집계됐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변화 없는 15%,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2%p 내린 66%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념성향별 중도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7%p 내린 18%, 부정평가는 6%p 오른 73%였다.

부정평가 사유 1순위는 '외교'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최종 조율을 위해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최종 조율을 위해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이는 미 안보실 도청에 대한 대통령실 대응을 두고 비판적 여론이 쏠린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층에게 자유응답으로 그 이유를 물은 결과 등을 보면, '외교'(28%), '경제/민생/물가'(10%), '일본 관계/강제동원 배상 문제'(9%), '독단적/일방적'(7%), '경험·자질 부족/무능함'(6%), '소통 미흡'(5%), '전반적으로 잘못한다'(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주 조사 때와 비교할 때 부정평가 사유에 큰 차이는 없지만, '외교'를 택한 응답비중이 전주 대비 5%p 늘었고 '일본 관계/강제동원 배상 문제'를 택한 응답비중은 6%p 줄었다. 즉, 한일정상회담 등 대일외교에 대한 비판 응답이 줄면서 같은 기간 윤 대통령의 외교 기조를 비판하는 응답이 늘어난 사유는 최근 불거진 미 안보실 도청 사태 대응과 무관하지 않은 셈이다.(관련 기사: "미 안보실 도청, 강하게 항의해야" 56.2% https://omn.kr/23iop ).

한편, 이번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도는 또 다시 하락했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전주 대비 1%p 내린 31%였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전주 대비 3%p 오른 36%로 나타났다. 정의당 지지도는 전주 대비 1%p 내린 4%, 무당층은 29%로 나타났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태그:#윤석열 대통령, #국정 지지율, #한국갤럽, #여론조사, #미 안보실 도청
댓글1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