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코로나19·인플루엔자(독감) 동시 유행을 뜻하는 트윈데믹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10월 18일(2022년) 오전 서울 성북구 우리아이들병원에서 시민들이 대기하고 있다.
 코로나19·인플루엔자(독감) 동시 유행을 뜻하는 트윈데믹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10월 18일(2022년) 오전 서울 성북구 우리아이들병원에서 시민들이 대기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예년과 달리 올해는 여름철에도 인플루엔자(독감) 등 호흡기감염병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손씻기·기침예절 준수 등 개인위생수칙을 잘 지켜줄 것을 정부에서 당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5일 전국의 의원급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기관(196개) 감시 결과, 올해 28주차인 지난 9~15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이 외래환자 1000명 당 16.9명인 것으로 집계되면서 최근 3주 연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같이 당부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통상 여름철에 접어들면 인플루엔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나, 올해는 봄철 유행의 증가세가 감소된 6월말 이후에도 유행이 꺾이지 않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소아를 포함한 '학생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했는데, 초등 연령층인 7~12세(43.0명)에서 가장 높았고, 13~18세(25.2명), 1~6세(18.5명) 순으로 발생이 높았다. 

특히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기관을 통해 수집된 호흡기환자의 원인병원체 감시결과에서는 28주차에 일반 감기의 원인이 되는 ▲리노바이러스 18.6% ▲아데노바이러스 15.9%로 검출이 높았으며, 코로나19가 12.3%로 다음으로 높았다. 다음으로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11.1%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10.5% ▲인플루엔자 6.3% 순이었다. 

리노바이러스의 경우 기침과 콧물, 코막힘 등 가벼운 감기증상을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발열 증상이 적은 편으로 연중 발생한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경우 발열과 기침, 콧물 등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며 마찬가지로 연중 발생하는 원인병원체다. 

이외에도 코로나19 병원체의 연령별 발생 비율은 ▲19~49세 29.3% ▲65세 이상 26.8% ▲50~64세 17.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밀폐·밀집한 장소나 인구이동으로 사람간 접촉이 늘어나는 하계 휴가지 등에서는 인플루엔자, 코로나 19 등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외출 전·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기침 예절,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수칙의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 청장은 "다중이용시설, 대중교통 등 이용 시 일반 국민들에게는 마스크 자율 착용을 권장하되, 고위험군은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드린다"면서 "감염취약시설 중 입소형 시설(요양원, 요양시설 등) 및 병원급 의료기관의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호흡기감염병으로 진단된 경우라면 본인과 가족, 이웃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가급적 외출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태그:#질병관리청, #인플루엔자, #여름철 유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