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 집단행동이 나흘째 이어지는 23일 경남 양산시 물금읍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내 대형모니터에 '정상 진료 차질'이라는 안내문이 보인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 집단행동이 나흘째 이어지는 23일 경남 양산시 물금읍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내 대형모니터에 '정상 진료 차질'이라는 안내문이 보인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집단으로 사직서를 제출하고 업무를 중단한 전공의들을 향해 조속한 복귀, 대화를 촉구하는 여론이 이어진다. 윤석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에 맞서 전공의들이 일제히 가운을 벗으면서 의료 차질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공의 집단행동 1주일째인 26일 부산에서는 엇갈린 성명 두 건이 각각 발표됐다. 하나는 병원을 떠난 이들에 대한 엄정 대응 주문과 다른 하나는 타협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장기화하는 사태 타결을 요구한 건 같지만, 해법은 다소 달랐다.

부산의 수십 개 단체로 꾸려진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가 발표한 이날 성명에는 "정부와 의료계와 함께 즉시 머리를 맞대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담겼다.

"이미 예견되었다는 점에서 국민은 매우 안타깝다. 당장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 공백이 발생할 때까지 정부와 정치권은 그 책임을 다했는지 먼저 묻지 않을 수 없다. 의료계는 (중략) 의료 현장을 벗어나고 환자를 떠나는 방법밖에 없는지 역시 묻지 않을 수 없다."

일단 양쪽의 책임부터 언급한 지방분권부산연대는 엉킨 실타래를 풀 첫걸음으로 대화를 강조했다. 당장이라도 비공식이든, 공식이든 대화 테이블에 앉으라는 호소이다.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정치적 활용 가능성도 걱정했다. 이 문제가 선거용으로 전락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지방분권부산연대는 "여야 정치권이 의료 현장의 혼란을 또 하나의 정쟁 소재로 악용한다면 국민의 원성을 받을 수밖에 없다"라고 경고했다.

반면, 지역의 200여 개 단체가 속해있다고 설명한 부산시민단체협의회는 "즉각적인 파업 중단"을 압박했다. 정부·전공의 등 양측을 싸잡아 비난한 협의회는 의사의 무책임한 행동, 정부의 무능한 대응이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지적을 내놨다.

"의료 윤리와 책임을 완전히 잊은 채 집단으로 파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환자들의 고통을 무시하고, 그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 (중략) 정부의 의료 정책 역시 문제의 일등공신이다."

협의회는 특히 전공의를 상대로 "스스로 의사의 존재를 버리고자 한다면 그때부터 의사면허를 보유할 자격이 없다"라며 영구 박탈 발언까지 내세웠다. 동시에 정부에는 "현실에 맞게 정책을 해야 한다"라며 태도 변화를 주장했다.

하지만 무조건 강경한 대처만 언급한 건 아녔다. 협의회는 전공의 현장 복귀를 전제로 "전국의사협회, 정부가 의료 서비스의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즉각적으로 협상에 나서야 한다"라고 의견을 덧붙였다.

태그:#전공의, #집단행동, #의대정원확대, #윤석열정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