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 겸 보건복지부 2차관이 1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브리핑에서 비상진료체계 상황 등을 발표하고 있다.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 겸 보건복지부 2차관이 1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브리핑에서 비상진료체계 상황 등을 발표하고 있다.
ⓒ 보건복지부

관련사진보기

 
정부가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의과대학 증원 규모를 1년 뒤 협의체를 꾸려 결정하자'고 한 제안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의사 집단행동이 전공의에서 의대 교수가지 확대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12일 오후 출입기자단에 문자메시지를 통해 "의사 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은 더 늦추기 어려운 사안"이라며 "특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의료 수요를 감안할 때 증원 시기를 1년 늦추면 그 피해는 훨씬 커질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또한 "필수의료 부족으로 인한 국민들의 고통을 생각할 때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아님"이라고 못박았다. 

한편, 방재승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의대 정원을 확정 짓지 말고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여·야, 국민대표, 전공의, 교수가 참여하는 대화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또 방 위원장은 "의사나 전공의, 의대생이 아니라 환자가 가장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3월 말까지 전공의, 의대생이 돌아오지 않으면 정상 진료가 불가하며 결국 대한민국 의료는 파국을 맞는다"고 우려했다. 

의대 증원 규모와 관련해서는 "세계보건기구(WHO) 등 공신력 있는 해외기관에 의뢰해 평가를 받자"면서 "몇 개 연구를 취합하면 어느 정도 일치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전날(11일) 총회를 통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합리적인 방안 도출에 나서지 않을 경우 18일을 기점으로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히고, 하루만에 내놓은 제안을 정부가 거부함에 따라 의대 교수들의 집단행동이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태그:#보건복지부, #서울대의대교수협의회, #의대증원규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