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3년 7월 20일 오후 5시쯤 울산 북구 양정동 현대차 정문앞에 집결한 보수단체 회원들이 "희망버스는 종북세력이니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같은 시간 맞은편에서는 민주노총과 일부 희망버스 탑승자 등 1000여명이 비정규직 철폐 결의대회를 열었으나 보수단체 집회로 전체 희망버스 집회는 열리지 못했다
 2013년 7월 20일 오후 5시쯤 울산 북구 양정동 현대차 정문앞에 집결한 보수단체 회원들이 "희망버스는 종북세력이니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같은 시간 맞은편에서는 민주노총과 일부 희망버스 탑승자 등 1000여명이 비정규직 철폐 결의대회를 열었으나 보수단체 집회로 전체 희망버스 집회는 열리지 못했다
ⓒ 박석철

관련사진보기


지난 2007년 6월 현대차노조의 '한미FTA 체결저지 노동계 동시파업' 동참과 2013년 7월 현대차 비정규직을 돕기 위한 희망버스 울산 방문 등에는 늘 보수단체의 반대집회가 이어졌다. 그 중심에는 상공회의소를 주축으로 한 '행복도시 울산 만들기 범시민협의회(아래 행울협)'가 있었다.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 행울협 회원단체들은 비정규직을 돕기 위해 울산으로 온 전국의 희망버스 참가자를 외부세력으로 규정했다. 특히 지난 7월 20일 현대차 울산공장 앞에서 "종북세력 물러가라" 등의 플래카드를 내걸고 구호를 외치며 맞불 집회를 열어 희망버스 집회가 무산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행울협을 실질적으로 이끌어온 전현직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이 잇따라 비리의혹에 연류돼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행울협은 지난 2007년 "울산지역 경제사회 발전과 산업평화 정착을 위한다"는 기치아래 상공회의소와 가입기업 등 지역의 경제, 시민, 사회 102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보수성향의 단체다.

울산상공회의소 전 회장, 100억원 횡령 혐의 검찰 수사

12월 16일 <연합뉴스> 등 언론보도에 따르면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 수사단은 이두철(68) 전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이 거액의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횡령 등)와 관련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전 회장은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을 맡을 당시 원전 건설과 관련한 지역의 유력기업인 삼창기업을 운영했지만 2009년 상의회장을 그만 둔 후 지난 2011년 회사를 포스코 계열사에 매각했다.

검찰은 이 전 회장이 원전 제어계측 부품을 생산하는 옛 삼창기업을 운영하면서 100억 원에 달하는 회삿돈을 빼돌린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를 위해 최근 삼창기업을 인수한 포스코 계열사와 관계사 2곳을 압수수색해 회계장부와 컴퓨터 파일 등을 확보, 정밀 분석에 들어갔다.

울산상공회의소 현 회장, 알짜배기 땅 지자체로부터 매입후 약속 안지켜

현 울산상공회의소 회장도 지자체로부터 주차난 해소를 위한 주차장 건립 용도로 알짜배기 땅을 매입하고도 땅 값이 크게 오른 현재까지 지난 12년간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특혜 의혹을 받고 있다.

울산 최고 번화가로 부상한 남구 삼산동 롯데백화점 인근 부지는 도시 개발로 심각한 교통혼잡이 일자 울산시가 지난 1994년 도시계획시설상 주차시설로 지정했다.

그 후 울산시는 지난 2001년 12월 교통영향평가에 따라 620여대를 수용할 수 있는 6층짜리 주차시설을 짓는다는 조건으로 민간 사업자에게 이 땅을 17억 8000만 원에 매각했고 현재 땅 값은 100억원 이상을 호가한다.

하지만 사업자는  실시계획 인가 신청을 미뤄 방치하면서 매각조건인 6층짜리 주차시설 건립 이행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같은 특혜 의혹은 지난해 11월 남구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남구의회 국일선(통합진보당) 의원이 제기했다. 남의원은 당시 '행정사무조사권 발동과 시행자 지정 취소, 부지 환수' 등을 요구했지만 1년동안 유야무야 되면서 그동안 '땅 주인공이 과연 누구냐'로 설왕설래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울산 KBS 취재 결과 이 사업자는 김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으로 드러났다.

김철 회장은 KBS 취재에 "자체 설계 결과 6층 건물에 620여대는 현실적으로 수용이 불가능해, 주차대수를 절반으로 줄여주던지 아니면 교통영향평가를 재실시 할 것을 울산시에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울산시 측은 "사업인가가 유지되기 때문에 계약 해지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울산  남구청측은 "사업 시행 의지가 있으면 연기를 해 줄 수 밖에 없다"며 일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울산KBS는 "결국 지역 경제계 수장이 시유지를 부당하게 소유하게 됐고, 당국은 특혜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보도했다.


태그:#행울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